사이트 기본 내용과 검색용 설정
웹사이트의 이름과 공유나 검색에 노출될 내용 등을 관리합니다.
원웨어 서비스는 고객의 편의와 빠른 이해, 방법 습득을 위해 웹사이트 제작시 기본정보를 미리 설정해 드립니다. 이미 설정된 기본정보를 살펴보고 이를 가이드 삼아 직접 유지운영하면 더욱 손쉽게 웹사이트를 관리할수 있습니다.
1. 기본정보 설정
[환경설정]의 "레이아웃설정"에서 [기본정보 설정]을 클릭합니다.
2,3,4. 웹사이트의 이름 정하기
웹사이트의 #2. 회사명(국문)을 15자 이내로 설정합니다. 해당 이름은 인터넷 브라우저 탭 영역에 ②회사명과 ④사이트 제목이 함께 표시되고, 사이트 검색시 노출 됩니다. 보통 사이트 제목은 적지 않아도 됩니다. ※ ③영문 회사명, 영문 사이트내용은 다국어버전이나 특정 디자인 테마에만 사용이 한정됩니다.
5. 공유나 검색시 노출될 글 내용 정하기
사이트 내용은 해당 웹사이트를 설명하는 전반적인 내용을 적는 곳입니다. 이 설명이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의 서비스에서 웹사이트 URL을 공유할때 표시되는 글 내용이 됩니다. 네이버 처럼 포털사이트의 특성에 따라 사이트의 내용을 키워드와 조합해 검색해서 노출하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 네이버는 별도의 검색등록 철차를 거쳐야합니다.
6. 검색시 필요한 키워드 정하기
사이트 키워드는 구글이나 네이버처럼 포털사이트에서 해당 웹사이트를 검색할때 필요한 키워드입니다. 마치 태그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반응형"을 사이트 키워드에 적어놓으면 포털사이트에서 "반응형"을 검색하면 해당 키워드가 있는 웹사이트를 검색할때 우리 웹사이트도 같이 검색될 확율이 생깁니다.
※ 사이트 내용과 사이트 키워드는 45자 이내를 권합니다.
※ 사이트 검색은 사이트 키워드 기반으로 검색되나 각 포털사이트(네이버, 구글 등)마다 특성이 달라 사이트 내용 기반으로도 검색될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경우 내용과 키워드 조합을 기반으로 검색 됩니다.
7. 공식 이메일 설정
사이트 대표 이메일을 설정 합니다. 설정된 이메일 계정으로 시스템메일이 발송되며 이메일을 받은 사람의 발송처에 해당 이메일 계정이 명기됩니다.
※ 공식 이메일 계정이 자사 도메인명이 아니면 메일 수발신 관련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특히 네이버, 지메일, 다음, 한메일 등 웹서비스 이메일 계정을 공식 이메일로 사용할 경우 해당 이메일 계정과 발송 서버가 다르다고 판단해 해당 메일 서비스에서 스팸이나 수신차단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 메일은 [네이버, 지메일, 한메일,...]을 통해 발송된 메일이 아닙니다. 보낸 사람의 주소가 실제 발송 주소와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라는 메세지가 [주의] 표시와 함께 표기 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웹서비스가 스팸메일로 곤욕을 치루고 있어 이런 정책수행이 매우 엄격하게 적용되니 공식 이메일로 등록 설정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방문자가 게시판 글 등록시 대표 이메일 계정으로 알림 메일이 발송됩니다. 뉴스레터 발송시 해당 메일계정으로 이메일이 발송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게시판 환경 기능설정 방법" 을 참조하세요.
8. 관리자 표시이름 설정
관리자 표시 이름을 설정 합니다. 게시판에서 관리자글에 해당 이름이 표시됩니다.
9. 회사소개자료 업로드((※ 지원하지 못하는 테마도 있으니 유의)
회사소개 자료를 업로드하면, 웹사이트 제작시 미리 설정한 메뉴 또는 특정 영역에 다운로드 버튼이 생성 됩니다.
업로드할 파일의 용량을 최소화(※ 파일 지원 형식 : pdf, 3MB 이내 권장) 해서 올려주셔야 디스크 사용 용량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파일 업로드후에는 반드시 하단의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해 저장 완료하셔야 합니다.
파일을 업로드후에는 해당 버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링크주소 복사" 를 선택한 후 해당 링크의 연결을 원하는 곳에서 붙여쓰기로 링크 연결 설정하시면 됩니다.
※ 파일 지원 형식 : 반드시 pdf 파일이어야 하며, 파일 크기는 3MB 이내여야 합니다.